:::시험평가보기:::
시험보기
과정명 : 6시그마(GB)
담당교수님 : 이의영 교수
학습자 : 이태훈(xogns0325@naver.com)
01
6시그마 (Six Sigma)의 의미와 거리가 먼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1
(1)
모집단의 표준편차가 6이라는 의미다.
(2)
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을 뜻한다.
(3)
경영혁신의 의미로 일하는 방식을 뜻한다.
(4)
통계적의미로 시그마수준을 의미한다.
02
6시그마의 역사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1
(1)
6시그마는 제조 회사에게만 전파되었다.
(2)
6시그마는 미국의 모토롤라에서 시작되었다.
(3)
6시그마는 국내에서도 많은 기업에서 도입하였다.
(4)
6시그마는 GE 이후에 미국내에 많이 확산되었다.
03
다음 중 6시그마활동의 중점 추진방향과 거리가 먼것은 ? (5점) (0점)
정답 : 2
(1)
프로세스 중심
(2)
보고서 중심
(3)
고객 중심
(4)
인재 중심
04
다음 중 6시그마활동의 핵심원리가 아닌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4
(1)
데이터에 의해 객관적으로 판단하라.
(2)
프로세스에서 개선기회를 파악하라
(3)
개선효과가 유지되도록 노력하라.
(4)
경영자의 Mind로 문제를 폭넓게 관찰하라.
05
다음 중 Define단계의 주요 활동으로 볼수 없는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1
(1)
구체적인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해 예상되는 근본원인을 도출한다.
(2)
고객의 소리(VOC)를 통해 고객의 핵심 요구사항을 분석한다.
(3)
과제와 연계된 프로세스 중 어느 부분에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하는지를 파악한다.
(4)
고객의 요구수준이나 기업의 목표에 대하여 우리수준과의 차이를 확인한다.
06
다음 중 팀챠터 작성항목이 아닌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2
(1)
개선기회
(2)
과제 확산계획
(3)
비즈니스 케이스
(4)
과제의 범위
07
팀챠터의 SMART 평가항목 중 잘못 표현한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1
(1)
Attainable–목표가 도전적일 경우 달성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소규모의 가능한 목표수립을 의미함
(2)
Time Bound–과제의 수행기간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어 과제 수행 완료일을 알 수 있어야 함
(3)
Measurable – 측정이 불가능한 문제는 개선할 수 없으므로 측정 가능한 문제인가의 측면을 의미함
(4)
Specific – 실제 구체적인 비즈니스 문제를 다루고 있는가를 평가함
08
다음은 SIPOC을 설명한 내용이다. 적절하지 않은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1
(1)
비부가가치 영역을 찾아내어 개선할 목적으로 작성한다.
(2)
프로세스의 Output을 분명히 할 수 있다.
(3)
프로세스의 시작과 끝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.
(4)
일반적인 프로세스의 구성요소를 횡으로 도식화하여 고객 등의 주요 구성요소를 파악한다.
09
다음 중 CCR(Critical Customer Requirement)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2
(1)
가급적 요구조건(spec) 이 있으면 좋다.
(2)
챔피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다.
(3)
VOC중에서 핵심적인 요구사항이 표현된다.
(4)
VOC를 체계적으로 그룹핑하여 얻는다.
10
다음중 CTQ를 설명하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않는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2
(1)
고객의 요구사항이나 프로세스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핵심 품질 특성치
(2)
과제 수행 후 대외에 홍보하기 좋은 지표
(3)
Output Indicator 중 CCR/CBR을 만족시키는 지표
(4)
한 개의 과제에 여러 개의 CTQ를 선정 할 수 있음
11
다음중 중심척도가 아닌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2
(1)
최빈값(Mode)
(2)
범위(Range)
(3)
산술평균
(4)
중앙값(Median)
12
다음중 산포척도가 아닌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4
(1)
범위(Range)
(2)
표준편차
(3)
분산(Variance)
(4)
산술평균
13
다음중 5M1E에 대한 설명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1
(1)
E는 Empty 즉 비어있는 것을 말한다.
(2)
품질관리를 하는데 중요한 개념들이다.
(3)
프로세스의 input과 프로세스 내의 인자들을 의미한다.
(4)
프로세스의 Output들에게 산포를 일으킨다.
14
다음 중 시그마 수준의 의미를 가장 적합하게 설명된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1
(1)
우리가 고객의 요구에 얼마나 잘 부응하고 있는지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게 해 준다.
(2)
우리가 경쟁자들보다 얼마나 잘 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.
(3)
고객의 요구사항을 처리하는데 얼마나 많은 비용이 소요될 지 알 수 있게 해 준다.
(4)
고객의 요구사항을 처리하는데 얼마나 시간이 걸릴 지 측정할 수 있게 해준다.
15
다음중 과제의 목표를 설정할때의 기준이 아닌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2
(1)
고객의 요구조건.
(2)
가급적 이익이 많이 나는 수준
(3)
업계 최고 기업의 수준.
(4)
기업의 전략목표치(KPI).
16
Analyze 단계의 활동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2
(1)
데이터가 없는 것들은 정성적 검증을 한다.
(2)
개선안의 적용성을 사전에 계획한다.
(3)
반응인자(CTQ)에 영향을 미치는 X인자들 중 핵심근본원인을 확정한다.
(4)
반응인자(CTQ)와 X인자의 데이터 속성(연속형,이산형)에 따라 검증방법이 다르다.
17
다음 중 이산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지 않은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4
(1)
데이터의 분해가 불가능
(2)
불량품 수, 결점 수
(3)
측정된 데이터의 숫자를 세어서 얻은 특정치 값
(4)
길이, 넓이 등 측정한 값
18
상관계수(r)에 대한 다음 사실 중 틀린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1
(1)
r = 0 이면 두 변수는 항상 서로 독립이다
(2)
r의 부호가 마이너스(-)이면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
(3)
-1≤ r ≤ 1
(4)
상관계수는 두 변수간의 선형관계가 어느 정도인가를 재는 측도이다
19
Y가 연속형, X도 연속형이면 적용하는 검증방법은? (5점) (0점)
정답 : 1
(1)
회귀분석
(2)
비율검정
(3)
분산분석(ANOVA)
(4)
T검정
20
특성요인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 (5점) (0점)
정답 : 3
(1)
주요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해 5M 1E를 이용한다.
(2)
어골도(Fish Bone Diagram)라고도 한다.
(3)
해결방안을 찾는데 적합하다.
(4)
CTQ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도출한다.
최종 점수 : 0 점